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문장으로 읽는 책]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내가 존재, 그러니까 무(無)의 가능성을 처음으로 체감한 것은, 아득한 옛날의 어느 날 밤이었다. 그날은 내가 ‘사람’이 된 날이었다. 무의 아우라가 없는 것은 아직 존재가 아니기 때문이다. 학령기 전인 것은 확실하지만, 4살이었는지 혹은 6살이었는지는 분명치 않다. 나는 내 어머니의 손을 잡고 어느 곳을 걷고 있었고, 그 사이 눈을 들어 하늘을 바라보게 되었다. 청명한 야밤으로 별들이 많았다. 죄다 익숙한 존재물로, 바로 이 ‘존재라는 틈’의 틈입이 아니라면 아예 언급할 일이 없는 범상한 것들이었다. 나는 별(들)을 쳐다보았는데, 그 순간, 무엇인가가 내 마음을 단숨에 휘어잡았다. 이상한 말이지만 그것은 ‘무’, 무의 가능성이었다.  나와 내 어머니와 우리 주변의 모든 것이 없었을 수도 있었고, 없어질 수도 있으리라는 절절하고 공포스러운 체감이었다, 존재의 틈으로 무가 번개처럼 찾아들던 순간이었다. 내가 비로소 사람이 된 날이었다. 내게 ‘영혼’이 생긴 날이었다.   김영민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제도권 대학을 떠나 30년 가까이 인문학 공동체와 공부 모임을 이끌고 있는 철학자·시인 김영민의 책이다. ‘무가 찾아온 날, 영혼이 생긴 날’이라는 제목의 윗글에 저자는 “이 무한한 공간의 영원한 침묵이 나를 두렵게 한다”는 『팡세』의 문장을 달았다. ‘공부의 철학자’로 유명한 저자는 수행자처럼 공부하고 실천하는 삶을 강조한다. 그에게 공부란 “매사에 진짜를 구하는 애씀” 혹은 “스스로 밝아지는 것이고, 그 덕으로 이웃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게 사는 일”이다. 양성희 / 중앙일보 칼럼니스트문장으로 읽는 책 생활 철학 공부 모임 시인 김영민 무가 번개

2023-11-29

[아름다운 우리말] 우리는 날마다 무엇을 배우는가?

 저는 수요일 저녁에 제자들과 공부모임을 하고 있습니다. 원래는 학교 근처 카페에서 하는 모임이었는데 코로나 때문에, 또는 코로나 덕분에 온라인으로 하게 되었습니다. 코로나 때문이라고 말하는 것은 얼굴을 보지 못하는 모임이 되었다는 아쉬움 때문이고, 코로나 덕분이라고 말하는 것은 지방에 있는 제자나 해외에 있는 제자, 심지어 한창 힘들어하는 미얀마에 있는 제자까지 이 모임에 참여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 모임에서 그동안과는 다른 공부의 고마움을 새삼 느낍니다. 공부는 모르는 것을 배우는 것이고, 모임은 그것을 서로 나누는 것이기에 좋은 겁니다. 기쁜 것이지요. 그렇지만 내 마음에 따라 공부는 짐이 되기도 하고, 힘이 되기도 합니다. 저는 이 모임을 통해서 더 확실히 그것을 느끼고 있습니다. 우리는 공부 모임에서 무엇을 배우는가요? 이 질문에 대한 가장 간단한 답은 물론 지식일 겁니다. 혼자서는 잘 나아가지 못하고 막혀있는 부분이 함께 하면 뚫리는 기쁨을 맛보게 됩니다.   모임을 통해서 단순히 지적인 발전만을 이루는 게 아닙니다. 모임은 나를 내적으로 성장시킵니다. 우리는 서로에게 누구인지? 얼마나 서로를 존중하는지? 얼마나 훌륭한 사람인지를 깨닫게 됩니다. 서로를 귀하게 여기는 것이 모임의 시작입니다. 그러고 나면 공부모임은 한 단계 더 나아가게 됩니다. 배우는 내용은 어렵고 때로 풀리지 않는 문제가 많지만, 모임 속에 있는 그 시간은 그대로 행복한 시간이 됩니다. 함께하는 사람이 고마운 시간이 됩니다. 공부가 위로가 되는 겁니다. 우리 모임은 언어와 교육에서 시작하였지만 사람을 보고 세상을 봅니다.   요즘 저는 배우는 모임을 몇 개 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지금 말한 언어문화 공부모임입니다. 화요일, 목요일, 금요일 저녁에는 일본어 공부모임을 하고 있습니다. 일본어 수업이기는 하지만 일본어로 세상사를 이야기하는 모임입니다. 외국어를 공부한다는 것은 나의 벽을 허물고 세상을 보는 시각을 넓히는 일입니다. 한국어와 일본어의 비교 때문에 시작한 공부이지만 금세 외국어 공부가 나를 위로합니다. 한국어를 배우는 이에게도 한국어 공부가 위로이기 바랍니다.   일요일에는 국악을 배웁니다. 장구와 민요를 주로 배웁니다. 요즘에는 북, 징, 꽹과리도 배우고 있습니다. 늦게 시작하였기에 초조함이 없습니다. 어차피 느리게 갈 것을 알기에 답답함도 없습니다. 그저 함께 어울려서 나아갈 뿐입니다. 다만 내가 어느 한 부분의 역할만이라도 잘 해내기를 소망하면서 우리 음악을 배웁니다. 그리고 선생님과 함께 국악 치유에 관한 논문도 씁니다. 내가 그랬듯이 많은 이들이 국악을 통해 치유받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한편 틈나는 대로 하는 모임은 걷고 오르기 모임입니다. 참여자가 일정한 모임은 아닙니다. 처음에는 숲 걷기로 시작했던 것이 이제는 좋은 산과 계곡을 찾아 오르기도 합니다. 아내와 둘이 걷는 모임이었는데, 점점 함께하는 사람이 늘고 있습니다. 보통은 네 명 정도가 함께 걷습니다. 처형네 부부, 제자 부부, 친구 부부 등 부부가 주로 많습니다. 아들과 조카도 함께 걷습니다. 숲에게 배우고, 길에게 배우고, 산에게 배우고, 함께 걷는 이에게 배웁니다. 흐르는 땀과 대화가 달콤합니다.   날마다 배우는 날입니다. 나를 귀하게 여기고, 서로를 귀하게 여기는 것을 배우는 시간입니다. 힘들어하는 스스로를 돕는 배움입니다. 귀하지만 때로는 가여운 나를 돕는 배움입니다. 귀한 마음으로 벗을 돕게 되는 배움입니다. 나를 대하듯이 남을 대하게 되는 시간입니다. 나를 위로하듯 그를 위로하고, 나를 칭찬하듯 그를 칭찬하고, 나를 사랑하듯 그를 사랑하는 오늘입니다. 배움을 통해서 나의 그릇이 커지기 바랍니다. 세상에 대한 이해가 커지기 바랍니다. 그래서 오늘도 더 살고 싶어지기 바랍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공부 모임 한국어 공부 외국어 공부

2022-04-1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